스타트업 스토리
일본 진출 5년, 핀테크 스타트업 '모인'이 느낀 것들
모인은 빠르고 저렴한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에요. 해외 송금을 하면 당연히 이용해야 했던 중계 은행이나 SWIFT망을 거치지 않고 송금 은행과 수취 은행을 직접 연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해 송금 수수료가 기존 서비스 대비 90% 가까이 저렴하면서도 거래 시간은 4배 정도 빠른 서비스를 내놓았죠. 이런 혁신 덕분에 모인은 한국에서 23년 9월 기준 25만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22년에는 172억 원의 시리즈 B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어요.
한국에서 성공 가도를 달리던 모인은 5년 전 일본에 법인을 설립했는데요. 모인은 일본 시장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을지, 모인이 최근 입주한 일본의 핀테크 혁신 허브 '피노랩'에서 모인의 서일석 대표와 박태산 일본 법인장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모인은 2016년 2월 디데이에 출전하고 디캠프로부터 투자 유치와 입주 공간을 제공받은 디캠프의 패밀리사입니다.
①모인 서일석 대표 ②모인 서일석 대표(우)와 모인 박태산 일본 법인장
모인이 47개 거래 국가 중 일본을 가장 먼저 선택한 이유
Q. 모인이 글로벌 진출을 결심하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직접 진출의 첫 단계는 해당 국가에서 해외 송금 라이선스를 취득하는 것입니다. 특정 국가에서 해외로의 송금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송금 사업자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합니다. 해외로 직접 진출하지 않으면 송금 사업자 라이선스 취득이 쉽지 않고, 한국에서 해외로는 송금할 수 있지만 반대로 해외에서 한국으로는 송금할 수가 없죠.
Q. 여러 나라 중에서도 일본 시장에 가장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계신 것으로 압니다. 여러 나라 중에서도 일본 시장을 가장 매력적으로 느끼셨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Q. 현재 일본 시장에서는 어떤 일에 집중하고 계신가요?
일본 시장, 시간과 신뢰가 필요합니다
Q. 한국 스타트업의 해외 법인으로 일하며 느낀 일본 시장의 장단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추가로 일본 사람들은 한국 사람보다 굉장히 우회적으로 소통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문제가 있더라도 무엇이 문제인지 직접적으로 말하는 것을 꺼리는 것 같아요. 상대를 배려하는 일본의 특유의 문화와 관습인 것 같습니다.
Q. 일본 문화를 이해하려면 일본 현지 인력 채용도 중요할 것 같은데요. 관련해서 주실 만한 팁이 있을까요?
일본의 핀테크 혁신 허브가 일반 공유 오피스와 다른 점
Q. 일본의 핀테크 혁신 허브 '피노랩'에 자리 잡고 계신데요. 이전부터 인연이 깊다고 들었습니다.
Q. 피노랩에 입주해 보니 어떠셨나요?
Q. 도쿄에서 현지 진출 스타트업을 위한 디캠프의 네트워킹 행사 '모크토크'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모인 임직원분들도 참여하신 경험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참여해 보신 소감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