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보기
home
오피스아워·살롱
home

시리즈별 투자 유치는 어떻게 다를까?

발행일
연사
이창윤
편집
d·camp
태그
성장 인사이트
오피스아워&살롱
2 more properties

IR 살롱: 투자자 이해하기

시리즈별 투자 유치는 어떻게 다를까?

‘시드 투자 유치는 쉬웠는데, 시리즈 A 투자 유치는 쉽지 않다’는 말, 많이 들어 보셨을 텐데요. 투자 유치 시 경기 흐름의 영향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시리즈별로 중점적으로 보는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에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시험 난이도가 같을 수 없듯, 기업이 성장하고 투자 금액이 커질수록 투자 심사의 기준도 달라지는 셈이죠.
시드부터 시리즈 A~D까지, 투자 라운드별로 투자자가 중점적으로 보는 사항들을 정리해서 알려드려요.
*단 최근에는 시리즈별 투자자의 경계는 사라지고 있는 추세인 점, 참고 하세요.
 시드 투자: 사람과 시장 잠재성, 성장성
주요 투자자: 엔젤투자자, 엑셀러레이터
투자 규모: 5~10억 원
주요 기준: 창업자 역량, 팀 구성, 잠재 시장과 가설
시리즈 A: 가설이 검증돼야 해요
주요 투자자: 초기 투자 VC, SI 투자
투자 규모: 10~50억 원
주요 기준: 경영진 역량, 잠재 시장 규모, 검증된 가설, 고객 반응, 회수 모델
시리즈 B~C: 지표가 중요해져요
주요 투자자: VC, SI 투자
투자 규모: 50~500억 원
주요 기준: 제품의 완성도, 사업 지표, 사업 계획 수행 정도, 경쟁력, 회수 모델
시리즈 D: 지표로 승부 봐야 해요
주요 투자자: VC, SI 투자, PEF
투자 규모: 500억 원~
주요 기준: 사업 지표, 경쟁력, 수익 실현 정도, 구체적 회수 계획

디캠프의 투자 기준은?

한편, 각 AC/VC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도 다른데요. 디캠프 직접투자팀에서 주요 투자 기준은 다음과 같아요. 노란색으로 하이라이트 된 부분을 더욱 중요하게 보고 있으니 참고하세요.디캠프 직접투자팀은 초기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올해 9월 기준 누적 196개 기업, 258억 원을 투자했습니다.
[디캠프 투자기준]
시장
시장규모
현재 시장 규모 및 미래 시장 성장성 (수익실현 가능 시장 기준)
시장점유
미래 시장 점유 가능 비율
경쟁강도
경쟁 현황
고객 분석
핵심 고객 대한 이해와 고객의 지불 가능성
사업모델
혁신성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지, 새로운 시장과 사업모델
지속가능성
전방산업 또는 타 산업 의존도, 매출 수익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지속 가능성
핵심 경쟁력
기술, 영업망, 규제 등 진입장벽을 구축할 수 있는 경쟁력
확장성 (글로벌)
글로벌 확장 가능성(의지와 역량)
마일스톤
사업계획의 중/단기 구체성, 실현가능성,  장기적 비전
수익모델
수익모델의 매력도
트렌드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의 부합성
창업자/대표
창업자 이력, 역량, 신뢰, 실행력, 수용성, 열정
팀 역량
팀 구성, 팀원의 역량
기여도
핵심 인력과 이탈 시 대안, 인력관리
투자
기업가치
적정한 수준의 기업가치
투자내역
펀딩 이력
투자금
투자금 사용 용도 및 자금 계획의 투명성
회수 모델
IPO & M&A 가능성
기타
재단 부합성
사행성, 미풍양속 저해 업종, 거버넌스 고려, 디캠프와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 및 시너지 효과 등
리스크
정부 규제 및 법률 리스크
본 내용은 지난 8월 10일, 디캠프 직접투자팀 이창윤 팀장님과 함께한 디캠프 성장 프로그램 ‘IR 살롱 시즌1’의 일부 내용을 재구성하여 만들었습니다.